카테고리 없음

촌수 계산법 그림으로 쉽게 알아보자

(&^$@!) 2021. 9. 25. 16:07

촌수

촌수는 친족 사이의 멀고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수 또는 그런 관계인데요 촌수의 촌(寸)은 우리말로 마디를 뜻합니다. 촌수로써 친족 호칭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보면 우리나라와 같이 친족 구성원을 촌수로 따지고, 그것을 친족 호칭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보기어렵죠

 

우리의 촌수는 어느 친척이 나와 어떤 거리에 있는지 명확히 말해주는 부분에서 어느 문화에도 볼 수 없는 고유의 제고가 되겠습니다

촌수(寸數)는 친인척의 상호 관계를 수치를 통하여 멀고 가까움의 형식으로 이해하기 위한 해석 방법이다. 이 촌수 방식은 우리의 고유한 관계 분석용 도구로 알려져 있으며 기록상으로는 12세기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기록에는 촌(寸)이라는 말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없으나, 상호 관계를 따질 경우에 친 가족의 범위만 벗어나도 여러 사람을 거쳐 상대방의 위치를 알게 되는 구조를 생각해 볼 때 나와 상대방 사이에 나타나는 여러 사람을 한 마디씩으로 해석하여 상대방까지 몇 마디를 거쳐 갔는지를 살펴보고 수치로 환산하였을 경우 상대방과 나와의 가깝고 먼 상태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죠

​촌수 기본 개념

​1. 부부는 촌수가 없다.

2. 부모와 자식 사이는 1촌이다.

3. 형제자매 사이는 2촌 관계이다.

4. 촌수의 촌(寸)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결 마디를 의미하고, 지나온 마디의 수가 촌수이다.

나를 기준으로 친가의 촌수와 명칭

나를 기준으로 외가의 촌수와 명칭

남편 기준의 촌수와 명칭

아내 기준의 촌수와 명칭

촌수 명칭 정리

아내가 알아두어야 할 시댁 호칭 남편이 알아두어야 할 처가 호칭
관 계 호 칭 관 계 호 칭
시아버지 아버님 장인 아버님
시어머니 어머님 장모 어머님
남편의 형 아주버님 아내의 오빠 처남(형님)
남편의 누나 형님 아내의 남동생 처남
남편의 동생 도련님/서방님 아내의 언니 처형

1. 아버지의 형님: 백부-큰아버지

 

2. 큰아버지의 부인: 백 모-큰어머니

 

3. 아버지의 결혼한 동생: 숙부-작은아버지

 

4. 작은아버지의 부인을: 숙모-작은어머니

 

5. 아버지의 누님 혹은 누이동생: 고모

 

6. 아버지의 누님 혹은 누이동생의 남편: 고모부

 

7. 아버지의 형님이나 동생의 아들, 딸: 종형제, 사촌

 

8. 아버지의 누님, 누이동생의 아들, 딸: 고종형제, 고종사촌

 

9. 어머니의 친 오빠나 남동생: 외숙, 외삼촌

 

10. 어머니의 친 오빠나 남동생의 아들, 딸: 외종형제, 외사촌

 

11. 남에게 자기 아내를 말할 때: 집사람, 안사람, 아내

 

12. 며느리가 시부모님을 직접 부르거나 남에게 말할 때: 아버님, 어머님

 

13. 남에게 다른 사람의 부모를 말할 때: 부친, 모친

 

14. 동생이 형의 아내를 부를 때: 형수님

 

15. 형이 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 제수씨

 

16. 누나가 남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 올케

 

17. 남동생이 누나의 남편 부를 때: 자형, 매형

 

18. 여동생이 언니의 남편을 부를 때: 형부

 

19. 오빠가 여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 매제

 

20. 형이 집안 어른에게 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제수, **댁

 

21. 남편의 남동생이 결혼하기 전: 도련님

 

22. 남편의 여동생은 미혼과 기혼: 아가씨